프로필
담당 과목
- 대학원: 인구 및 생애 분석방법, 인구사회학, 인구변동과 고령사회연구
- 학부: 인구변동과 고령화사회, 사회조사방법, 동아시아 사회, 현대사회의 생로병사
학력사항
- 1990. 서울대 사회학과 졸업
- 1993. 서울대 대학원 사회학 (석사)
- 1998. 미국 Brown 대학 사회학 (박사)
주요경력
- 2021-2023 서울대 여성연구소 소장
- 2022 한국가족학회 회장
- 2020-현재 중앙선거방송토론위원회 위원
- 2018 – 2019 한국사회학회 이사
- 2018 – 2019 한국인구학회 이사
- • 2018 – 2019 고령화특별위원회 위원
- • 2018 – 2019 노인과학학술단체연합회 학술이사
- • 2016 – 2019 국민연금재심사위원회 위원
- • 2014 – 2018 Development and Society 편집장
- • 2006 – (현) 서울대학교 사회학과 조교수, 부교수, 교수
- • 2001 – 2006 동아대학교 사회학과 전임강사, 조교수
- • 2000 – 2001 한양대 아태지역연구센타 연구교수
- • 1998 – 2000 서울대 사회발전연구소 상근연구원
연구실적
[논문]
- 2020. “Moderating effect of cognitive reserve on the association between grey matter atrophy and memory varies with age in older adults.”, [Psychogeriatrics], (Seyul Kwak,Minyoung Shin, Hoyoung Kim, Belong Cho, Jung‐Hwa Ha, Gyounghae Han, Hongsoo Kim, Yangmi Koo, Soonman Kwon, Chulhee Lee, Hyeon Jung Lee, Keong‐Suk Park, Jeanyung Chey)
- 2019. “A Few Thoughts on Very Low Fertility, Aging Society: Reflection on Demographic Transition and Modernity.” [Journal of Asian Sociology]
- 2019, “한국여성의 생애: 갈등적 성별화와 계층화”, [경제와 사회] 122.
• 2019. “동태적 연령구조 모형에 기초한 지역 유형화와 지역의 인구 경제 교육 복지환경의 상호관계에 대한 고찰”, [한국인구학] 42/2 - 2017. “서울과 나고야 노인의 생애사와 가족변화: 근대가족의 탄생과 종언의 생애사적 자취.” 아시아리뷰 6/2.
- 2016. “노인가구형태의 변화가 노인 빈곤율 변화에 미친 영향.” [한국사회학] 50/1 (박경숙, 김미선)
- 2015. “연명의료 결정의 딜레마와 그 사회적 맥락.” [사회와 이론] 26 (박경숙, 서이종, 안경진)
- 2015. “임종기 노인의 고통에 대한 사회학적 고찰.” [한국사회학] 49/2.
- 2013. “Consecrating or Desecrating Filial Piety? : Korean Elder Care and the Politics of Family Support “, [DEVELOPMENT AND SOCIETY] 42/2, 서울대학교 사회발전연구소
- 2013. “북한의 출산력 변천과 사회적 요인”, [한국인구학], 한국인구학회
- 2012. “경제 위기 전후 북한 주민의 사망률 동태의 특성과 변화”, [한국인구학], 한국인구학회
- 2012. “탈북이주자 생애사에 투영된 집단적 상흔과 거시 권력구조: 지속된 한인 디아스포라, 가부장제, 위계적 시민권”, [경제와사회], 한국산업사회학회
- 2012. “북한의 식량난 및 기근과 인구변동, 통일정책연구”, [통일연구원]
- 2012. “일제의 인구 조사와 인구 통치: 1908-1936년 재만 일본영사경찰의 인구 집계 자료를 중심으로”, [사회와역사], 한국사회사학회
- 2012. “북한 사회의 국가, 가부장제, 여성의 관계에 대한 시론”, [사회와 이론],한국이론사회학회
- 2011. “국제법상에 나타난 보편적 인권규정과 노인인권”, [법과사회] (김주현, 박경숙, 이상림, 최인희,손정인)
- 2011. “도시지역 연소노인들의 사회참여와 동기 요인간의 관련성”, [한국노년학],한국노년학회, (한경혜,김주현,박경숙,Hiroko Akiyama,이재인)
- 2009. “식민지 시기(1910년-1945년) 조선의 인구 동태와 구조”, [한국인구학]
- 2008. “빈곤층의 생활과 의식: 생활세계 내 불평등의 지배와 저항”, [한국사회학], 한국사회학회
- 2007. “도덕, 정치, 경제의 연관에서 본 효도법 담론의 의미,” [가족과 문화] 19/3
- 2007. “노년의 제도화와 복지: 기능 갈등, 시선들.” [사회양극화 극복을 위한 사회정책 구상] (신동면 엮음). 풀빛.
- 2006. “Korea Women’s Life Course and Meanings of Family and Economic Activities. 人口學硏究(일본인구학회지) 39호.
- 2006. “빈곤개념과 생애사의 교차.” [삶의 기회: 부산, 울산, 경남 지역 저소득층의 생활과 의식] (박경숙 편). 동아대 출판.
- 2006. “생산적 복지 정책의 한계: 여성과 고령자 고용촉진정책의 효과.” [삶의 기회: 부산, 울산, 경남 지역 저소득층의 생활과 의식] (박경숙 편). 동아대 출판.
- 2005. “비교사회적 시각에서 본 저출산의 원인.” [동아시아: 비교와 전망] 1/4. 동아대학교 동아시아 연구원.
- 2005. “Diversity and Structure of Intergenerational Relationships: Elderly Parent-Child Relations in Korea,” Journal of Cross Cultural Gerontology. 20: 285-305 (published online: 30 september 2006)
- 2005. “남녀 결혼시기 연장의 주요 요인: 계층혼, 성역할분리규범, 경제조정의 우발적 결합.” [한국인구학] 28/2 (박경숙, 김영혜, 김현숙)
- 2005. “생애를 통해선 본 여성의 경제활동과 가족역할의 의미.” [경제와 사회] 68 (박경숙, 김영혜)
- 2004. “생애구술을 통해 본 노년의 자아.” [한국사회학] 38/4.
- 2004. 韓國における中年層と老親の世代關係 の多樣性と潛在構造. [家族社會學硏究] 15/2. 日本家族社會學會.
- 2003. “한국여성의 생애 유형-저출산과 M자형 취업곡선에의 함의.” [한국인구학] 26/2. (박경숙, 김영혜)
- 2003. “세대관계의 다양성과 구조.” [한국사회학] 37/2.
- 2003. “노인가구 변화의 인구․사회 요인.” [통계연구] 8/1. 통계청.
- 2003. “55세 이상 고령자의 노동시장 이탈과정: 은퇴의 유형화에 대한 함의.” [노동정책연구] 3/1. 한국노동연구원.
- 2002. “한국과 일본에서 장애노인 가족부양자의 사회적 보호 서비스에 대한 이용 욕구.” [한국노년학] 22/1.
- 2001. “중장년기 종사상 지위와 은퇴과정의 다양성.” [노동경제논집] 24/1.
- 2001. “노년기 불평등의 미래.” [한국사회학] 35/6.
- 2001. “Inter- and Intra Family Differences in Generational Proximity in the US and Japan.” Development and Society 30/1.
- 2001. “Strategic Adjustment of Elderly Asian Americans: Living Arrangements and Headship.” Journal of Comparative Family Studies 32/2 (Voon Chin Phua, Gayle Kaufman, Keong-Suk Park)
- 2000. “한국노인의 사회적 관계: 가족과 지역사회와의 연계정도.” [한국사회학] 34/3.
- 2000. “중년층과 노부모의 세대관계와 중년층의 노후대책.” [한국인구학] 23/1.
- 2000. “노동시장의 연령차별구조와 고연령층의 취업생활.” [노동경제논집] 23, 특별호.
- 2000. “Reconsideration of Japanese Welfare System midst Rapid Aging.” Journal of Asia-Pacific Affairs 2/1. Seoul: Hanyang University Press.
- 1999. “Unbalanced Aspects of Family Change in Korea and Japan.” International Journal of Japanese Sociology 8. (Kim, Ikki and Keong-Suk Park). 일본사회학회.
- 1999. “Ethnic Differences in the Adjustment to Disability and Poverty among Unmarried Elderly Persons.” [한국인구학] 22/1. (Keong-Suk, Park, Fances Goldscheider, and Roger Avery)
- 1998. 現代の韓國と日本における 老親の 地理的 近接性. [人口問題硏究] 54/4. 일본후생성
- 1998. “불완전한 자료에 대한 보완기법: EM 알고리듬과 2단계회귀식의 활용.” [한국인구학] 21/1.
- 1997. “노인부모와 자녀사이의 지리적 근접성에 대한 연구: 미국과 일본의 사례를 중심으로.” [한국인구학] 20/2.
[논저]
- 2019. [중국 동포 인구구조 변화와 정책과제]. 이민정책연구원. (박경숙, 이창원, 강미선 공저)
- 2018. [네트워크로 바라본 아시아]. (손정렬, 김상배, 박경숙, 권규상, 서울대출판부)
- 2017. [인구학 방법: 인구동태의 측정과 모형]. 서울대출판부.
- 2013. [북한사회와 굴절된 근대: 인구, 국가, 주민의 삶] 서울대출판부. (2014년도 대한민국학술원 우수저서 선정)
- 2013. [세대 갈등의 소용돌이]. 다산출판사.
- 2010. [노인 인권 논문집] (국가인권위원회)
- 2010. [사회의 질 동향] (정진성)
- 2009. [한국사회의 트렌드를 읽는다](정진성 외)
- 2008. [ 배움과 한국인의 삶] (전상인, 정범모, 김형국 편)
- 2007. (forthcoming). Global Oriental.
- 2007. [사회양극화 극복을 위한 사회정책 구상]. 풀빛. (신동면 엮음)
- 2007. “アジアの家族とジェンダ―“ 落合美子, 山根真理, 宮坂靜子 編 こ. 勁草書房.
- 2007. [한국의 인구 대사전]. 통계청.
- 2006. [삶의 기회: 부산, 울산, 경남 지역 저소득층의 생활과 의식]. 동아대 출판부. (편저)
- 2005. [빈곤의 순환고리들]. 동아대 출판부. (편저)
- 2003. [고령화 사회 이미 진행된 미래]. 의암출판.
- 2005. [중산층의 몰락과 계급양극화]. 소화 (유팔무, 김원동, 박경숙)
- 2005. [사회과학의 고급계량 분석] (이재열 편)
- 2005. [서울인구사]. 서울특별시시사편찬회 편.
- 2005. [21세기 한국 사회의 구조적 변동]. 민음사 (김성국 편)
- 2004. [사회적 차별과 법의 지배]. 박영사. (정인섭 편)
- 2004. [현대 한국사회의 불평등]. 한울 (방하남 편)
- 2004. [The Population of Korea]. 통계청 (김두섭, 김정석 편)
- 2002. [한국의 인구]. 통계청. (김두섭, 박상태, 은기수 편)
- 2001. [세계화와 복지국가]. 나남. (송호근 편)
- 2001. [변화하는 노인의 삶과 노인복지]. 한양대출판부 (김두섭 편)
- 2000. [고령화사회의 장기요양보호] . 소화. (차흥봉 편)
- 2000. Aging in East and West. Springer Publishing Company. (Bengtson, Vern, Jin Yoon and Kisoo Eun eds.).
- 1999. [한국노인의 삶]. 미래인력. (김익기 편).